부소오름과 부대오름

서로 닮은 부소오름(왼쪽)과 부대오름. 뒤로 숱한 오름을 품은 한라산이 우뚝하다.
이토록 다정스러운 풍광이라니! 170m의 거리를 두고 서로 이웃한 부대오름과 부소오름은 생긴 모양과 덩치가 쌍둥이처럼 닮았다. 예쁘게 빚은 만두를 떠올리게 하는 형태인데, 부소오름은 남서쪽, 부대오름은 북동쪽으로 트인 말굽형 굼부리를 품었다. 앉은 방향이 서로 다르고, 굼부리도 부대오름 쪽이 더 깊고 크지만, 등을 돌린 것처럼 보이지 않고 정겨움이 묻어난다. 마치 서로 끈끈히 이어져 있는 프로펠러의 대각선 날개 같다.

2코스가 지나는 굼부리 안은 활엽수가 많다.
길들이지 못한 풋말들의 놀이터
부대오름과 부소오름은 조천읍 선흘리의 선화교차로 한 귀퉁이에 나란히 서 있다. 오름 북동쪽 자락으로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와 제주시 건입동을 연결하는 번영로가 지난다. 두 오름 중 교차로에 붙은 것이 부대오름이고 그보다 동쪽의 것이 부소오름이다. 달리 ‘扶大岳부대악’, ‘扶小岳부소악’이라고도 한다. 이름 때문에 둘 중 부대오름(표고 468.8m, 비고 109m)이 더 높을 것이라 짐작되지만, 사실은 해발고도나 오름 자체의 높이 모두 부소오름(표고 469.2m, 비고 129m)이 조금 더 높다.

안내도가 있는 부소오름 들머리.
‘부대’, ‘부소’라는 오름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이야기가 전해오지 않는다. 일제강점기 때 부대오름 굼부리 안에 일본군 부대가 주둔했기에 ‘부대악部隊岳’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이가 있으나, 그보다 훨씬 이전에 만들어진 옛 지도나 문헌에서 ‘부대扶大’, ‘부소扶小’라는 이름이 확인된다.

걷기 좋은 오솔길을 따르는 굼부리 능선.
제주도가 국영 말목장 역할을 하던 조선시대엔 부소오름을 ‘새메’라고도 불렀다. ‘’은 말의 제주어로, ‘새’은 아직 길들이지 못한 풋말을 가리킨다. 달리 ‘생’이라고도 한다. 즉, 풋말을 놓아 먹이면서 길을 들이던 마장이 부소오름 일대였다. 이렇게 예쁘고 좋은 이름으로 불리던 오름이 어쩌다가 어정쩡한 명찰을 달게 된 걸까? 참 아쉬운 대목이다.

능선 갈림길 지점. 2코스가 굼부리 안으로 갈라진다.
이웃한 부대오름의 굼부리는 바로 앞에 붙어 선 거문오름 때문에 답답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반대로 부소오름 굼부리는 남서쪽으로 완만하게 흘러내리며 넓고 펑퍼짐한 초원을 만들었다. 부소오름의 굼부리 형태는 무척 특이하다. 상단부에는 얕은 원형의 굼부리가 들어섰고, 그 아래로 말굽형 굼부리가 희미한 경계 너머로 이어진다. 그러니까 굼부리 벽의 한쪽이 아예 터져나간 게 아니라 원형을 남긴 채 용암이 넘치듯이 흘러간 모양새다.
오름을 뒤덮은 수종의 분포 또한 눈길을 끈다. 오름의 안팎 모두 서쪽 사면에는 활엽수가, 반대쪽 사면은 침엽수가 빼곡하다. 이 점은 부대오름도 마찬가지다. 바람 때문인지, 지형 때문인지 알 수 없지만, 이런 현상은 여러 오름에서도 확인된다. 굼부리 안과 밖의 수종이나 식생이 확연히 다른 오름도 적지 않다.

골체오름, 부대오름, 부소오름이 늘어선 풍광. 뒤로 송당리의 오름들이 펼쳐졌다.
세 가지 코스를 적절히 조합해 탐방
부소오름 북쪽, 번영로와 이어진 곳의 도로를 닦다 만 듯한 길이 있다. 100m쯤 이어지는 넓고 반듯한 이 길이 가장 널리 이용되는 진입로다. 주차하기도 좋다. 그 끝에 빗장을 걸어둔 철문이 있는데, 양쪽 기둥 옆이 트여 탐방객들이 드나드는 문으로 쓰인다. 철문을 지나 울창한 삼나무 숲을 빠져나오면 오름 둘레길을 만나고, 탐방로 안내도가 선 들머리가 가깝다.

굼부리를 나서면 만나는 농로를 겸한 둘레길.
부소오름의 탐방로에는 세 가지 코스가 있다. 1코스는 굼부리 능선을 따라 오르내리고, 2코스는 굼부리 중간을 사선으로 가로지른다. 오름 정상에서 동쪽 산등성이를 따라 내려선 후 둘레길을 이용해 돌아오는 3코스는 셋 중 가장 길다. 상황에 따라 이 탐방로들을 적절히 조합해 다양한 동선을 짤 수 있다.
1, 2 코스를 조합해 만들어진 코스가 가장 애용된다. 서북능선을 따라 정상까지 간 후 남동능선을 타고 내려서다가 굼부리를 가로질러 출발지로 돌아오는 동선이다. 멋진 솔숲과 굼부리 내부의 아름다운 활엽수 지대를 모두 만날 수 있다. 정상에서 갈라지는 3코스로 들어서면 해송과 삼나무, 편백나무로 울창한 숲길이 날머리까지 이어져 삼림욕에 최적이다. 시간이 여유롭다면 이 코스는 후회 없는 선택이다.

서북능선 아래를 돌아가는 2코스의 편백나무 구간.
탐방로는 통나무계단이나 데크 같은 인공시설 없이 자연 그대로의 오솔길로 이어진다. 가시덤불이나 수풀 구간이 없고, 폭 또한 적당히 넓어서 걷기에 안성맞춤이다. 다만 바닥에 솔잎이 두껍게 쌓인 곳이 많아서 오르내릴 때 미끄러짐에 주의해야 한다.
빈틈없이 나무로 뒤덮인 오름인 탓에 시원한 조망이 아쉽지만, 탐방 내내 제주 숲의 좋은 기운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 없다. 정상에서는 동북쪽으로 살짝 조망이 트인다. 거슨세미오름과 송당리 민오름, 다랑쉬오름, 높은오름, 동검은이오름, 백약이오름 같은 송당리 일대의 내로라하는 오름이 한눈에 들어온다. 짧지만 강렬한 풍광이다. 저마다 멋들어진 능선미를 뽐내는 오름을 하나하나 짚으며 살피는 재미가 좋다.
부소오름은 이웃한 부대오름과 함께 묶어서 탐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진입로 중간에서 오른쪽으로 두 오름을 연결하는 길이 갈라진다. 부소오름만 오르내리면 코스에 따라 1시간이나 1시간 반이면 넉넉하고, 부대오름을 포함하면 3시간쯤 걸린다.

Info
교통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성산항을 오가는 211번, 제주민속촌을 오가는 221번 버스가 ‘거문오름입구’ 정류장에 정차한다. 여기서 성읍 방향으로 1.25km 간 후 우회전하면 부소오름 들머리다.


성읍녹차마을 녹차밭의 서쪽 용암동굴.
주변 볼거리
성읍녹차마을 표선면 성읍리에 위치한 녹차밭. 오설록에 댈 바는 아니지만 오히려 아담하고 한적해서 좋은 곳이다. 녹차밭의 서쪽, 볼록한 언덕에 천장이 무너져 내린 용암동굴이 있다. 안쪽에 동굴 일부가 그대로 남았는데, 이곳 내부에서 입구를 보며 찍은 사진이 멋지게 나와서 SNS포토핫스폿으로 인기다.

고향길든솔의 짝뼈국.
맛집
고향길든솔 ‘한정식’이 메인 메뉴다. 정성이 느껴지는 맛있는 나물과 채소, 반찬이 하도 많아서 다 맛을 보기도 힘들 정도다. 제주 토속음식인 ‘짝뼈국’도 잘한다. 한정식 1만3,000원, 짝뼈국 7,000원, 동태찌개와 김치찌개 6,000원.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이리로 32,
문의 064-787-2273.

★오늘의 날씨★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산왕] 무릎에 좋은 산행 다섯 가지 요령 (2) | 2025.04.02 |
---|---|
철원의 봄이 피려던 어느 날, 한탄강 주상절리길 (2) | 2025.03.31 |
[경상도의 숨은 명산 기룡산] 산 첩첩, 눈 겹겹…여여한 나그네 마음 (1) | 2025.03.29 |
[전라도의 숨은 명산 첨산·봉화산] 순천만 최고의 전망 갖춘 산 (3) | 2025.03.28 |
바위산과 야생화의 이중주…한 잔의 에스프레소로 완성 [돌로미티] (2)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