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질 식품은 항암 효력 있는 유전자 기능과 밀접
채소 등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은 장의 마이크로바이옴으로 인해 발효되면서 단쇄지방산을 만들어 낸다. 이 물질은 암 세포를 사멸하거나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섬유질 음식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기능을 바꾸는 화합물이 만들어져 암을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이 섬유질을 섭취하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단쇄 지방산(장내 미생물의 주요 대사 산물로 탄소 수가 6개 이하인 지방산이다. 식이섬유와 같은 비소화성 탄수화물이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돼 생긴다)을 만들어낸다. 이 화합물은 유전자 기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졌다.
미국 스탠포드 의대 연구팀은 장에서 가장 흔한 두 가지 단쇄 지방산인 프로피오네이트와 부티레이트가 건강한 세포, 치료된 대장암 세포와 치료되지 않은 결장암 세포, 쥐 장에서 유전자 발현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추적했다.
연구팀은 세포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특정 유전자에서 후성유전학적 변화(염기서열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전자 발현)와 함께 세포 사멸 또는 사전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 과정을 발견했다. 이는 암의 기저에 있는 억제되지 않은 세포 성장을 방해하거나 제어하는 데 중요하다.
스탠포드 유전학 교수 마이클 스나이더는 “이번 연구에서 섬유질 섭취와 항암 효력이 있는 유전자 기능 조절이 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걸 발견했다”면서 “섬유 소화 과정에서 생기는 단쇄지방산은 몸 전체를 돌아다닐 수 있다”고 말했다. 섬유질 음식을 먹으면 몸 전체에 항암효과가 있다는 의미다.
그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식단에 섬유질이 매우 부족해 마이크로바이옴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고 단쇄 지방산을 많이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섬유질은 건강한 식단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지만 일일 권장량을 섭취하는 미국인은 10% 미만이다. 이 연구는 콩, 견과류, 십자화과 채소, 아보카도와 같은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의 섭취를 늘려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https://k.kakaocdn.net/dn/Mw6uc/btqFGNmotNd/JKtkUx4pmLRyKCCmhUeDuk/img.gif)
★오늘의 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