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취향에 따라 같은 음식도 다르게 즐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름철 콩국수와 겨울철 팥죽은 설탕파와 소금파 논쟁이 지역적인 논란이 될 정도로 심심찮게 보인다. 그렇다면 연예인들은 올 동지에 먹는 팥죽을 어떻게 즐길까? 그들의 소신 발언을 모아보았다.

일 년 중 가장 밤이 길고 낮이 짧은 동지는 드는 시기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다르고 먹는 음식도 다르다. 양력으로 12월 21일이 동지인데 보통 동지가 음력으로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라고 한다. 애동지는 애기동지라고 하며 이때에는 팥죽을 먹으면 아이들에게 안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주로 팥떡을 해먹는 풍속이 있다. 중동지와 노동지는 우리가 생각하는 동지팥죽을 해 먹는 동지다. 올 12월 21일은 음력 11월 21일 노동지로 팥죽을 쒀 먹는 동짓날이다. 단순히 절기를 떠나 먹는 음식에도 의미를 부여한 날인 동지, 팥으로 만든 음식을 만들어 먹는 이유는 무엇일까.
붉은 팥에 담긴 염원
팥이 붉은색을 띠고 있어 동양에서는 액운을 피하거나 잡귀를 쫓는 주술성이 담긴 음식으로 여겨 이것으로 만든 음식을 먹으면 액땜을 한다고 전해졌다. 우리나라에서 이 이야기의 근원은 신라 선덕여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불심이 돈독해 황룡사 법당에 아침저녁으로 예불을 드리던 선덕여왕을 사모한 지귀라는 청년이 어느 날 선덕여왕의 행차에 나타났다. 예불을 드리러 가던 길이었기에 이를 마치기를 기다리라고 했는데, 이를 기다리던 지귀가 그만 죽고 말았다. 그 후 집집마다 흉흉한 일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평소 지귀가 붉은 팥을 싫어했다는 것을 알고 난 뒤 팥죽을 쑤어 문에 뿌리고 먹게 되면서 액운이 풀려 동짓날 팥죽을 끓여 먹었다고 한다. 팥은 면역력을 키워주고 냉기를 빼주는 음식으로 겨울에 꼭 필요한 음식인 것에 착안한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세시풍속이 아닐 수 없다.
지혜가 담긴 음식, 팥
<동의보감>에서 팥은 ‘성질이 평하고 달면서 시고 독이 없다’고 전한다. 이뇨작용이 뛰어난 약재로 밀에 중독된 것을 풀어주는 효과도 있다. <본초강목>에는 ‘심장의 곡식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성질로 말미암아 소장을 통해 음분으로 들어가 형체가 있는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도 기록하고 있다. 소화기를 튼튼하게 다스려 체내의 불필요한 것을 소변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해 우리 몸에 이로운 음식임을 의미한다. 또한 팥에는 단백질, 지방, 당분, 섬유질과 비타민 B1이 많이 들어 있어 겨울철에 부족해지기 쉬운 영양소도 보충해준다. 쌀밥이 주식인 우리민족은 비타민 B1이 부족해지기 쉬운데 이는 당질의 대사를 막아 몸속에 피로물질이 쌓이게 한다. 팥은 그로 인한 피로감, 식욕부진, 수면장애, 신경쇠약 등을 다스리는 효과가 있다. 예부터 서당에서는 책거리를 할 때 팥죽을 쑤었는데, 이는 공부하느라 뇌를 많이 쓴 학생들에게 팥을 먹음으로써 영양을 보충하라는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음식이었던 것이다.
건강하고 색이 고운 팥죽 끓이기
팥의 약성은 기운을 가라앉히고 물기를 많이 빠져나가게 하므로 오래 먹으면 사람을 마르게 한다. 그렇다고 많이 먹으면 피부가 거칠어지고 몹시 마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렉틴’이라는 독성 물질이 있어 복통이나 메스꺼움 등을 유발할 수 있어 팥을 조리할 때면 살짝 끓여서 첫물을 따라 버리고 새 물을 부어 팥을 삶아야 소화가 잘 되며 팥 색깔이 예쁘게 삶아진다. 햇팥의 경우 첫물을 버리지 않아도 된다는 말도 있으므로 참고한다. 팥을 삶아 채반에 거르거나 믹서에 갈아서 끓일 때는 약한 불에서 서서히 끓여야 눋지도 않고 색도 곱게 나타난다. 또한 옹심이를 만들 때는 생강즙을 조금 넣으면 향이 색다른 팥죽을 먹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먹기 직전 취향에 따라 만든 그대로의 팥죽을 즐기거나 설탕과 소금을 넣어 즐기면 맛도 좋고 영양도 좋은 나만의 팥죽을 즐길 수 있다.

★오늘의 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