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능선 해부
구글 어스Google Earth(입체지형도)로 울퉁불퉁한 공룡의 등허리를 살펴봤다. 취재팀이 지나온 경로를 표시했고, 종주 중 놓치지 않고 봐야 할 바위나 풍경도 추가했다.
![](https://blog.kakaocdn.net/dn/dgiSuG/btst6nESVE4/Gqw4FllbBv7i06jAH3mbu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OY8/btstXBSghsy/BjyiZZLbedyRxEHg0k3sjK/img.jpg)
❶ 무너미고개
거리 600m에 이르는 가파른 오르막 끝에 공룡능선으로 가는 삼거리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GwTXG/btst0wJizyC/2X5vbf3RNm98Izl9271S81/img.jpg)
❷ 첫번째 오르막!(희운각 쪽에서 출발할 때)
공룡능선 초입부터 까마득한 절벽이 나온다. 가까이서 보면 딛고 잡을 데가 많다.
![](https://blog.kakaocdn.net/dn/bvTZwt/btstTaAL6WJ/xU30hWESk9kgFQno5238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lbtf2/btstY6K0M7o/xEm7qgmzhMztwOYkChbUik/img.jpg)
신선대 포토 스팟. 바위 안에 들어가거나 바위를 배경으로 멋진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❸ 신선대 뷰 포인트
신선대에 오르면 공룡능선의 전체 모습이 드러난다.
![](https://blog.kakaocdn.net/dn/n43Id/btstY6K0M8j/8X1kFRxKiONAv1TNsBEVnk/img.jpg)
❹ 1275봉 오름길
공룡능선 전체 구간 중 가장 힘든 구간에 속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zLKEJ/btst0woYYIN/AQJzmXKPLRDr4IXGt2t4Q1/img.jpg)
❺ 1275봉 정상
1275봉 오르막이 끝나는 지점. 이곳은 봉우리 꼭대기가 아니라 안부다. 여기서 꼭대기까지 갈 수 있지만 위험하다.
![](https://blog.kakaocdn.net/dn/64Moj/btstXuZMbXD/pwi4G1Ze8ocXS3yIGk8EFk/img.jpg)
❻ 킹콩바위
공룡능선 명물 킹콩바위. 이곳은 바람골이기도 하다. 날씨가 좋으면 여기서 속초 앞바다까지 볼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PXVAZ/btstShNIhoP/3qVVJ0gNQkbaDZ8kGVIw91/img.jpg)
❼ 나한봉 오르막
마등령으로 갈 때 마지막 어려운 구간. 쇠난간을 잡고 가면 문제없다.
![](https://blog.kakaocdn.net/dn/d47CEV/btstX6EkwXh/Q28K2hpVc9C9JkKbwSicM1/img.jpg)
❽ 너덜지대
마등령 삼거리 직전 짧은 너덜지대를 지난다.
![](https://blog.kakaocdn.net/dn/Slb2N/btstSCxz4r7/x6Yui8hCrCiIZJKJQHfkWK/img.jpg)
❾ 마등령 삼거리
공룡능선 종료지점.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거치대가 있다. 15분간 충전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wdyLe/btstXBY28l1/jEvS5Ht0YG5nxpGkrvSmJK/img.jpg)
*이상하게 생긴 나무 발견!
무너미고개 오르막에서 본 나무. 우리는 엉덩이 나무라고 이름 붙였다. 이 나무를 지나면 곧 오르막이 끝나고 공룡능선이 시작된다.
공룡능선 각 구간별 난이도
신선대에서 출발, 마등령 삼거리로 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난이도를 체크해 봤다. 난이도는 기자가 착용한 스포츠 시계를 이용해 측정한 심박수를 토대로 했다. 체감상 가장 어려웠던 코스는 1275봉 오르막이었다.
![](https://blog.kakaocdn.net/dn/q8kfd/btstX1wfcXR/uwxXz5BbbYe39dML0gtcYk/img.jpg)
❶ 무너미고개 오르막
심박수 : 177
체감난이도 : ♥♥♥♥♡
느낌 : 공룡능선 전 구간 중 가장 힘들었다고 해도 될 정도의 오르막이었다.
❷ 신선대 오르막
심박수 : 167
체감난이도 : ♥♥♥♡♡
느낌 : 오르막이 가파르긴 했지만 쇠난간이 설치되어 있어 견딜 만했다.
❸ 이름모를 오름막
심박수 : 150
체감난이도 : ♥♥♡♡♡
느낌 : 그럭저럭 오를 만한 난이도였다.
❹ 1275봉 오르막
심박수 : 178
체감난이도 : ♥♥♥♥♡
느낌 : 오르막이 꽤 길었다. 그래서 심박수가 높게 나왔다.
❺ 나한봉 전 오르막
심박수 : 179
체감난이도 : ♥♥♥♥♡
느낌 : 힘든 코스가 끝났다고 생각할 때즈음 나타난 오르막. 그래서 더 힘들었다.
❻ 나한봉 오르막
심박수 : 167
체감난이도 : ♥♥♥♡♡
느낌 : 마등령 방향 진행 코스 중 마지막 힘든 코스에 해당된다. 마지막이라는 기분 덕분에 힘들다는 느낌이 덜했다.
![](https://blog.kakaocdn.net/dn/m4xeF/btst0byvHVD/JQbM4QM6MdUvVuwd92Owqk/img.jpg)
*경사로는 얼마나 기울었을까?
경사가 급한 곳 위주로 각도를 측정해 봤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수준기’ 어플을 이용했다. 전문적인 기계장치가 아니라 정확하지 않다.
신선대 오르막 : 약 40도
1275봉 전 오르막 : 약 24도
나한봉 전 오르막 : 약 38도
나한봉 오르막(마지막 오르막) : 약 44도
![](https://blog.kakaocdn.net/dn/bYXoow/btstX1C3m2Y/mt96zq7cORkQysijSGMhPK/img.jpg)
*심박수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기자의 경우 심박수 수치가 160 이상일 때 숨이 찼다. 170 이상일 땐 숨소리까지 거칠어졌다. 즉 심박수가 높을수록 힘들었다는 뜻이다. 심박수는 스포츠 시계로 측정했다. 제품은 ’코로스 페이스2’. 가격 대비 다양한 성능을 가졌다. 시계가 가진 여러 모드 중 ‘러닝’ 모드로 맞춰놓고 공룡능선을 통과했다.
![](https://blog.kakaocdn.net/dn/pdE5H/btstX2IGDjf/KM2BrsvoCa2Jjm2CiCTtxK/img.jpg)
양폭대피소. 정원이 10명이다. 공룡능선 종주를 계획하고 있다면 서둘러 예약해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ee5tf/btstSiZ7J4h/PP8YJPmqisfH9VzBGVxgh1/img.jpg)
무지막지한 공룡능선 초입 오르막을 마주치기 전 계곡을 건넌다.
![](https://blog.kakaocdn.net/dn/cxReLu/btst6po9Jws/FJNAWSIn6Skhw57ynuL0nk/img.jpg)
공룡능선은 바위 절벽 아래로 돌아가는 길이 대부분이다. 낙석에 유의해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4Id2z/btst5s7Ct9t/vItdoovi7uorQ3hkPpCZe1/img.jpg)
길이 대체로 좁다. 이에 따라 공룡능선을 통과할 때 스틱 사용이 불편하다는 일부 등산객들의 의견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MN118/btrocUvqtXD/Xa8yCQ8Nkf09kWhF6SYCXk/img.gif)
★오늘의 날씨★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섬산로드 교동도] 태풍이 몰고온 비바람 유배된 王의 눈물인가 (2) | 2023.09.23 |
---|---|
[공룡능선 특집 사고사례] 준비 부족, 판단 미스,만용 비극 뒤엔 ‘3가지 화근’ (0) | 2023.09.22 |
[공룡능선 특집] 공룡 등에 올라타는 3가지 비법 (0) | 2023.09.20 |
[공룡능선 특집] 공룡능선 재미있게 종주하는 방법 알려 드려요 (1) | 2023.09.18 |
[제주 용눈이오름] 다시 돌아온 마음의 쉼표! 이제는 드문 풀밭 오름 (0)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