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은 하루 최저기온이 5도 이하가 되면 들기 시작한다. 우리나라 단풍은 대청봉을 시작으로 하루 20~25㎞의 속도로 남하한다. 9월 29일 설악산을 시작으로, 중부지방에서는 10월 20~21일, 지리산과 남부지방에서는 10월 20~30일에 첫 단풍을 볼 수 있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Wn4fm/btrNWqWSoic/zPH6pX4krgUJX39w7js4B0/img.jpg)
단풍의 계절을 맞아 전국이 색동옷으로 갈아입고 있다. 힘들게 산에 오르는 대신 편하게 ‘단풍 로드’를 드라이브하며 화려한 가을을 느낄 수도 있다.
충북 보은 말티재.
단풍을 일찍 즐기기 위해 산을 찾는 이들이 많다. 힘들게 산을 오르지 않고도 편하게 오색찬란한 단풍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단풍 명소로 드라이브 여행을 떠나는 것이다. 첩첩산중 구불구불 고갯길이 단풍으로 채색되면 그림 같은 풍광이 된다.
설악산에 이어 두 번째로 단풍이 드는 오대산국립공원은 드라이브 단풍 명소를 품고 있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병내리와 강릉시 연곡면 솔내마을의 경계에 위치한 진고개를 넘는 국도 6호선이다. 2차선 도로가 한적한 데다 구불구불하게 이어져 천천히 지나가면서 감상할 수 있다. 정상에 서면 진고개를 병풍처럼 에워싼 봉우리들이 붉게, 노랗게 물들어 장관을 이룬다. 특히 구름이 낮게 내려앉으면 몽환적 풍경이 선계(仙界)를 방불케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WS1LJ/btrNSW36sIK/A8EDpiqzv9sO0bI2OfE3XK/img.jpg)
단양 보발재.
남쪽으로 내려가면 충청권에서 최상의 단풍 고갯길이 기다린다. 대표적인 곳이 충북 보은 속리산(俗離山)으로 들어가는 관문인 말티재다. 보은읍 장재리와 속리산면 갈목리를 잇는 고갯길로, ‘높다’는 뜻을 지닌 마루의 준말인 ‘말’과 고개를 의미하는 ‘티’와 ‘재’가 합쳐진 이름이다.
말티재 입구에서 해발 430m인 정상까지는 약 1.5㎞. 180도로 꺾어지는 S자 굽잇길을 열두 번 돈다. 고갯마루 ‘백두대간 속리산 관문’에 말티재 전망대가 마련돼 있다. 높이 20m의 전망대 끝에 서면 구불구불한 도로가 발아래 펼쳐진다. 길 주변 나무에 가을의 붓질이 잎사귀를 온통 울긋불긋 화려하게 치장한다. 이곳 단풍 절정 시기는 10월 말이다.
충북 단양군 가곡면 보발리와 영춘면 백자리를 잇는 보발재는 환상적인 굽잇길을 자랑한다. 일명 ‘고드너미재’로, 가을 단풍철 빼놓을 수 없는 드라이브 코스다. 꼬불꼬불 3㎞ 도로변을 따라 빨갛게 노랗게 물든 단풍은 주변 산세와 조화를 이루며 오색찬란한 가을을 선물한다. 정상 전망대에서는 단풍으로 물든 굽잇길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가파른 산길에 곱게 물든 가로수 잎들이 눈을 호강시키고 마음을 힐링시킨다. 단양 고갯길에서 죽령재도 빼놓을 수 없다. 대강면 용부원리와 경북 영주를 잇는 죽령재는 소백산의 아름다운 자태를 구경할 수 있는 데다 용부원 마을의 고즈넉한 산촌 풍경도 감상할 수 있다. 이곳은 10월 하순 절정을 이룬다.
![](https://blog.kakaocdn.net/dn/bYmixc/btrNWoLzJBq/VikeZy3DkcNvOUKJkbknJK/img.jpg)
충북 영동 도마령.
충북 영동군 상촌면 고자리와 용화면 조동리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 49호선은 만추의 서정을 느낄 수 있는 낭만 여행지다. 정상 도마령(刀馬岺·해발 800m)은 ‘말을 키우던 마을’ ‘칼 찬 장수가 말을 타고 넘던 고개’라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영동읍에서 무주 쪽으로 가다가 양강면을 지나 용화면을 거쳐 조동리로 가거나 4번 도로를 타고 추풍령·김천 쪽으로 가다가 49번 도로를 만나 무주·용화 방향으로 가도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SYSmm/btqJ6b3ZBcK/MlKV5B6khvYSkYzyaIWb20/img.gif)
★오늘의 날씨★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경 옥정호 붕어섬 연결하는 출렁다리 22일 개통…전북관광 명소 탄생 (0) | 2022.10.21 |
---|---|
그땐 미처 몰랐던 수학여행지의 진면목,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0) | 2022.10.20 |
‘육식의 끝판왕’ 양곱창 구이, 왜 자갈치시장서 태어났을까 (0) | 2022.10.18 |
인천 여행, 당일치기 해안 트레킹 코스 추천 (0) | 2022.10.17 |
먹거리 볼거리 가득한부산 해운대의 바다로 (1) | 202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