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화도(江華島)는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이 빚어낸 한 송이 연꽃이다. 한반도의 심장부를 적시며 도도하게 흘러내린 강들이 향연을 이루며 서해 바다로 흘러드는 바로 그 길목에 활짝 피어난 꽃송이 강화. 이름 그대로 오랜 세월에 걸쳐서 강화는 이들 하천 수운의 긴요한 경유지로서 명성을 떨쳐왔다. 또 교동, 석모, 주문, 불음도와 같은 크고 작은 섬들을 거느리며 바다와 육지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이 같은 사실은 서기 392년 고구려 광개토대왕 때 강화에 ‘갑비고차(甲比古次)’, 즉 ‘혈구(穴口)’군을 설치했으며, 그보다 360여 년 후인 신라 경덕왕 때는 ‘해구(海口)’군을 설치했다는 기록에서도 여실히 입증된다. 갑비고차나 혈구, 해구와 같은 지명은 모두 ‘강으로 들어가는 입구 또는 바다로 나가는 출구’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시대를 막론하고 강화가 해상 교통의 요지로서 중시되었다는 점이 드러난다.
- ▲ 오상리 고인돌군.
- 이렇게 의미심장한 섬인 강화에는 일찍이 선사시대 거석문화의 흔적으로서 고인돌이 남아 있다.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은 물론 근세 국난극복의 현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유산이 분포돼 있다. 섬 전체가 가히 하나의 살아 있는 역사박물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강화 부근리나 오상리 고인돌은 2000년 유네스코에서 정한 세계문화유산의 반열에 오름으로써 강화가 국제적인 명소로서 이름을 얻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미 지난 1995년 인천광역시에 편입된 강화는 21세기 들어 혁명적인 변화가 들이닥칠 조짐을 역력히 보이고 있다. 인천시에서 오는 2014년 아시안게임이 열리기 전까지 길이 11km의 다리를 영종도에서 신도를 거쳐 강화도 남단까지 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것이 바로 변화의 신호탄이다. 이는 장차 교동도를 잇게 될 다리와 더불어 남북 경제교류 활성화 시기에 발맞춰 개성까지 이어지는 환서해안고속도로의 일부가 강화를 관통한다는 것을 뜻한다. 동시에 강화도 남북단 일부가 인천경제자유구역에 편입되는 것까지 포함하고 있다.
관광명소로서 강화도는 해안이나 산 모두 절경이란 수식에 제값을 하는 풍치를 지니고 있다. 자연에 인공이 적절히 가미되어 더욱 감칠맛 나는 풍광이 곳곳에 자리한 강화도다. 새 봄을 맞아 ‘강화도 대특집’을 대형 안내지도와 함께 마련했다. 이 특집이 안내하는 대로 산에 오르고 해안을 따라 걷고 자전거나 자동차를 타고 달리노라면 여러분도 어느덧 강화도를 열렬히 사랑하는 팬이 되어 있을 것이다.
- “강화도는 열린 박물관입니다. 150여 기의 청동기 고인돌, 단군과 마니산천제, 삼국시대 고구려와 백제의 요충지, 고려시대 천도 및 대몽고 항전 유적지, 조선 중기 병자호란과 해안가 5진7보53돈대 구축, 조선 후기 병인양요·신미양요·운양호 사건 등 서구 열강의 격전지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는 역사 유적지들이 널려 있습니다. 이 풍부한 관광자원에 미래의 성장동력을 비즈니스화할 계획입니다.”
안덕수(安德壽·63) 강화군수는 요즘 ‘새로운 강화’를 만들기 위해 분주하다. 하루가 모자랄 지경이다. 새벽에 일어나 밤늦게까지 짜여진 일정에 한눈 팔 틈이 없다. 다 강화의 미래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해서다.
강화의 자원은 무궁무진하다. 역사적 유적에 농산물도 많다. 강화 쌀이라면 모두 알아준다. 속 누른 고구마도 유명하다. 포도와 배도 당도가 뛰어나다. 약쑥도 전국에서 최고 상품이다. 왜 강화 농산물이 우수한지 특별한 이유가 있었다. 바로 특이한 토양에 전국에서 일교차가 가장 크다는 날씨 덕분이다. 큰 일교차는 과일의 당도를 높이는 결정적 이유로 작용한다. 특산품도 있다. 강화 화문석이 지금은 조금씩 사라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화문석이라 하면 강화를 쳐준다. 이런 것들이 전부 강화의 성장동력이다.
그러나 무한한 성장동력을 살리지 못하고 인구가 계속 줄어들었다. 관광도 제자리걸음이었다. 연 400만 명 내외가 강화에 다녀가지만 머물지 않고 바로 돌아가는 관광지로 평가받고 있었다. 실제 관광수입이 얼마나 되는지 잡히지 않을 정도였다. 모두 기획과 아이디어를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재미를 못 주는 관광지였다.
이에 안 군수가 나섰다. 인구 감소부터 막아야 했다. 중소기업을 유치하면 중단될 것 같았다. 60여 개 중소기업에 각종 혜택을 주며 불러들였다. 성공적이었다. 중기 유치에도 성공하고 인구 감소도 막았다. 작년부터 유입인구가 2,000명 가량 늘었다. 군 단위의 인구 증가는 전국적으로도 거의 유일했다. 펜션도 생기기 시작했다. 체류 관광객이 조금씩 생겼다.
“보고 가는 관광지에서 묶고 가는 관광지로 탈바꿈하기 위해 유스호스텔 등 건전 여가시설을 더 늘리고, 산책로와 역사 탐방로도 조성하고, 고조선부터 근대까지 강화 역사홍보관도 만들 겁니다. 역사와 관광과 사업을 엮은 재미있는 관광지로 거듭나기 위해서 불철주야 뛰고 있습니다. 이 모든 작업이 강화 재창조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5년이 되면 상주인구 20만 명에 연 1,00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환서해안 자족·휴양도시로 다시 태어날 것입니다. 지켜봐주십시오.”
글 박정원 차장 / 사진 강화군청 제공
-
강·화·도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로 큰 섬
면적 302.14㎢인 강화도는 1읍12면에 인구 6만7,000명으로, 동경 126도 6분에서 126도 32분 사이, 북위 37도 38분에서 37도 51분 사이에 위치한다. 1970년대 직물공업이 성할 때만 해도 강화 인구가 12만 명에 달한 적도 있었다. 특산물은 화문석, 인삼, 순무, 약쑥 등이 유명하다.
강화는 우리나라에서 제주, 거제, 남해, 진도 다음으로 다섯 번째로 큰 섬이지만 제주를 제외한 거개의 큰 섬이 그렇듯 1969년 강화대교가 놓이면서 연륙도가 되었다. 김포시에서 48번 국도가 강화대교를 건너 강화읍으로 이어지며, 남쪽으로 356번 지방도가 초지대교를 건너 초지리로 이어진다.
- ▲ 구글어스로 본 강화도와 주변 섬.
- 지리적으로는 한강 하류를 사이에 두고 북한 개풍군 땅과 마주하고 있으며, 한강과 임진강·예성강이 모두 강화도 북쪽에서 만나 서해로 흘러든다. 동쪽 김포시와는 약 22km에 걸쳐서 남북 방향으로 왕복성 조류가 흐르는 염하(鹽河)를 그 경계로 한다. 교동도와 석모도·불음도·주문도·서검도·미법도·말도 등 10개의 유인도가 강화군에 속하며, 납섬·대섬·와도 등 15개의 무인도를 거느리고 있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광군 백수해안일주도로 '해따라기' 여행 (0) | 2009.05.22 |
---|---|
청정기운이 전해지는 에코투어 경상북도 영양군 (0) | 2009.05.21 |
[강화도 특집] 돈대에서 돈대로 이어지는 징검다리 (0) | 2009.05.15 |
[강화도 특집] 세 개의 강물이 빚어낸 한 송이 꽃을 찾아서.. (0) | 2009.05.14 |
꽃등심을 삼겹살처럼 굽는 마을 (0) | 2009.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