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uiAi8/btsL4RoXERs/zHaJWWnPbFIyCkyn2eFkU1/img.jpg)
창녕전통시장 입구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에 있는 창녕전통시장은 1900년대 보부상들이 집결하던 큰 시장이었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장을 모아 지금 자리에 개설한 것이 1926년이라 하니 어느덧 백 년 역사를 자랑한다. 그 후 1980년에 상설시장이 들어서면서 오일장과 상설시장이 함께 하는 전통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https://blog.kakaocdn.net/dn/lqw7w/btsL3PMtGMC/Mg9kOyyGi8hqsOY9F5yQg1/img.jpg)
3일, 8일에 열리는 전통 오일장
오일장이 크게 서는 3일과 8일에는 새벽부터 인산인해를 이룬다. ‘시골장이 커봐야 얼마나 크겠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북적대는 사람들 사이로 이것저것 구경하다 보면 걸어도 걸어도 끝이 보이지 않는다. 창녕축협에서부터 교하교 너머까지 장이 길게 늘어선다.
![](https://blog.kakaocdn.net/dn/brQv8Q/btsL3ohgwse/RIMqh2s1FY4xTt5fmV5KT1/img.jpg)
집밥 생각나는 반찬가게
![](https://blog.kakaocdn.net/dn/bktcpM/btsL5Bsj4AO/TI3e83h8djFfd6CrbwR5Kk/img.jpg)
창녕은 양파시배지
창녕에 오면 꼭 사야 할 특산품도 많다. 창녕은 전국적인 마늘 산지다. 마늘 철이면 달고 알싸해서 맛이 좋기로 소문난 마늘이 지천이다. 맥도날드가 창녕마늘로 버거를 출시한 것도 우연이 아니다. 또한, 창녕은 우리나라 처음으로 양파를 재배한 양파 시배지다. 1909년 창녕 대지면 석리의 성찬영 선생이 양파 재배에 성공했다. 그 후 그의 손자인 성재경 선생이 6·25전쟁 후 양파 보급에 힘쓰면서 가난한 농민들의 소득을 올려놓았다.
![](https://blog.kakaocdn.net/dn/cHbXaU/btsL4W4NhZQ/pmSpcTv31qzOWVTKVVRSKK/img.jpg)
가마솥에 뜨겁게 끓여내는 수구레국밥
찬바람이 부는 한겨울에 손을 호호 불며 시장 구경을 하다 보면 김이 모락모락 나는 국밥 한 그릇이 간절해진다. 창녕전통시장은 수구레국밥으로 유명한 곳이다. KBS ‘1박2일’에서 이수근이 수구레국밥 먹는 장면이 방송을 타면서 창녕 명물로 떠올랐다. 시장 주변에는 수구레국밥집이 여럿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YfDRP/btsL5Z7zx23/zoLdgKyEbi2jetBCwPl3k0/img.jpg)
언몸 녹여주는 수구레국밥
수구레는 소 한 마리에 2kg 정도만 나오는 특수부위다. 소가죽과 고기 사이에 있는 아교질 부위다. 사투리 같지만, 국어사전에 등장하는 엄연한 표준어다. 창녕 사람들은 오히려 ‘소구레’라고 부른다.
![](https://blog.kakaocdn.net/dn/cnKJDC/btsL52iW0J0/3xLlRBrLi0ej6VEtQoXkZk/img.jpg)
김이 펄펄 나는 수구레국밥 가마솥
수구레국밥 가게마다 뜨거운 김이 펄펄 나는 커다란 가마솥이 손님을 유혹한다. 모락모락 김이 오르는 뚝배기가 상에 놓이는 순간 입에 침이 고인다. 뻘건 국물에 콩나물, 선지, 파 그리고 수구레가 가득 담겼다. 칼칼하면서 구수한 국물 맛이 육개장이나 해장국과 닮았다. 특별한 것은 역시 수구레다. 쫀득쫀득한 수구레는 씹으면 씹을수록 고소한 육즙이 입안에 가득 찬다.
![](https://blog.kakaocdn.net/dn/dtmgjJ/btsL5Qiy1Mj/hdYdKEtwbf4YxwEyQh6hOK/img.jpg)
국수를 넣으면 별미
수구레국밥 안에는 밥이 없다. 경상도식으로 밥이 따로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국과 밥을 따로 먹다가 밥을 말면 또 다른 별미다. 창녕 사람들은 국수사리를 넣어 먹는 걸 즐긴다. 청양고추를 다진 양념장을 올려 더 칼칼하게 먹기도 한다. 깍두기 올려서 한 숟가락, 양파절임 올려서 한 숟가락, 바빠지는 숟가락에 한 뚝배기가 순식간에 비워진다. 숟가락 놓을 때쯤이면 추위에 언 몸이 싹 녹는다.
![](https://blog.kakaocdn.net/dn/pzvk4/btsL53PGiLG/gii6t39JzGp9P6v8qJyf0K/img.jpg)
달인이 만든 찹쌀꽈배기
![](https://blog.kakaocdn.net/dn/cjeD9Z/btsL3766433/KQTh3LOQDasEjdOtNGk3U1/img.jpg)
김 모락모락 국화빵
![](https://blog.kakaocdn.net/dn/6iL6H/btsL4WRhPEz/WK2Uirfn7r1XXVE60MefE0/img.jpg)
군침 도는 쑥떡
겨울 시장의 또 다른 매력은 주전부리가 아닐까. 생활의 달인에 전통시장 꽈배기 달인으로 출연했다는 꽈배기 집이 먼저 발길을 잡는다. 통통한 꽈배기와 쫀득한 찹쌀도넛은 배가 불러도 포기할 수 없다. 갓 구워낸 국화빵과 따끈한 어묵, 쑥떡, 순대까지 유혹은 끝도 없다.
![](https://blog.kakaocdn.net/dn/SgO3m/btsL3SI4xb3/FSqHhO61ifhhraeKMjqKK0/img.jpg)
줄 서서 먹는 호떡
![](https://blog.kakaocdn.net/dn/ltaCV/btsL6bNyZZj/WPogRAeLk6wKxT75gyqMhK/img.jpg)
찹쌀호떡 크기도 맛도 최고
시장에서 제일 긴 줄은 역시 호떡 가게다. 유명인들과 찍은 사진이 걸려 있고, ‘6시내고향’에도 나온 적이 있는 호떡집이다. 노릇노릇 구워진 찹쌀호떡을 종이컵에 담아 주는데, 종이컵 위로 툭 튀어나올 만큼 크다. 쫀득쫀득한 호떡과 뜨거운 꿀물을 호호 불어먹는 맛이 추위도 잊게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0vqGY/btsL4aJr065/ek1V6nWXSj3RXhAL2KWSmk/img.jpg)
창녕향교
창녕은 조선 시대에 현감을 두었던 큰 고을이었다. 특히 창녕전통시장 주변에 창녕향교, 석빙고, 신라 진흥왕 척경비, 술정리 동 삼층석탑 등 역사 유적이 몰려 있다. 시장 입구에 커다란 고분처럼 보이는 것이 석빙고다. 1742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우리나라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안으로 들어가 볼 수는 없지만, 문창살 너머 고스란히 보존된 내부가 보인다. 창녕향교는 석빙고에서 걸어서 8분 거리다. 규모는 비교적 작지만, 명륜당과 동재, 서재 그리고 대성전과 동무, 서무 등 교육 공간과 제례 공간 등 옛 모습을 잘 보여준다.
![](https://blog.kakaocdn.net/dn/ZxBWs/btsL46TJuGc/r47kqpNtjOikRUbMLIiAZK/img.jpg)
보물로 지정된 영산 만년교
창녕전통시장에서 차로 15분 거리인 영산면에는 또 하나의 보물이 숨어있다. 아름다운 홍예다리(무지개처럼 만든 둥근 다리)인 영산 만년교다. 수양벚꽃 드리우는 봄이면 전국에서 사람들이 몰려드는 벚꽃 명소 중 하나다.
![](https://blog.kakaocdn.net/dn/PBhCe/btsL5AfUos7/kJUQZFr2Ea0V0mVCrIZlZK/img.jpg)
흥미진진한 곤충생태학습관인 창녕생태곤충원
우포늪 근처에 자리한 창녕생태곤충원은 우포늪에 서식하는 잠자리와 곤충을 테마로 한 곤충체험학습관이다. 잠자리 유충부터 연가시, 물방개를 직접 만져보고, 멸종위기 곤충인 두점박이사슴벌레를 나뭇가지에 올려 관찰하다 보면 반나절이 순식간에 지나간다.
![](https://blog.kakaocdn.net/dn/RmssF/btsL53IVhMr/CRYROTY1MTrEByotmRDkKk/img.jpg)
산토끼노래동산
산토끼노래동산은 국민동요인 산토끼를 주제로 한 체험공간이다. 산토끼는 1928년 고 이일래 선생이 창녕 이방초등학교에 재직하면서 작사, 작곡한 노래다. 토끼마을, 토끼동굴, 토끼먹이체험장, 산토끼동요관, 작은동물원, 레일썰매 등 재미있는 공간들로 가득하다. 어디서나 울려 퍼지는 동요는 어른, 아이 모두를 동심으로 데려다준다.
![](https://blog.kakaocdn.net/dn/lJjGr/btsL3xkRqfx/gxDkhf6CDbfkOpVSEkFze0/img.jpg)
부곡온천_사진제공 창녕군
부곡온천은 창녕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명소다. 동국여지승람과 동국통감의 기록으로 보아 역사와 전통을 지닌 온천이다. 국내 온천 중 최고의 수온인 78℃를 자랑한다. 1981년 관광특구로 지정되어 호텔, 콘도, 온천 분수대 등 다양한 휴양 시설과 온천장이 들어서 있다. 한울공원은 주말마다 족욕체험장을 운영한다. 뜨거운 온천수에 발을 담그면 온몸의 피로가 말랑하게 풀린다. 겨울에 이만한 호사가 또 있을까.
〈당일 여행 코스〉
창녕전통시장→석빙고→창녕향교→만년교→부곡온천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창녕전통시장→석빙고→창녕향교→만년교→부곡온천
둘째 날 / 우포늪→창녕생태곤충원→산토끼노래동산
여행정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창녕군 문화관광
- 산토끼노래동산
○ 문의 전화
- 창녕관광안내소 055)530-1999
- 산토끼노래동산 055)533-1400
- 창녕생태곤충원 055)530-7411
- 창녕향교 055)530-1473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창녕, 서울남부터미널에서 하루 4회(08:00, 11:20, 14:10, 18:10) 운행, 3시간 48분 소요.
창녕시외버스터미널에서 창녕전통시장 입구까지 도보 약 10분.
* 문의 : 서울남부터미널 1688-0540, 창녕시외버스터미널 055)533-4000
○ 자가운전 정보
중부내륙고속도로 창녕 IC→IC사거리에서 창녕 방면 좌회전→ 창녕시장길 1.7km 직진→창녕전통시장
○ 숙박 정보
- 부곡스파디움 따오기호텔 : 부곡면 온천중앙로 42, 055)530-3000
- 화왕산자연휴양림 : 고암면 청간길 128-126, 055)533-2332
- 로터스711 : 성산면 연당윗담길 29-11, 010-4008-6192
○ 식당 정보
- 삼오식당 : 수구레국밥, 창녕읍 창녕시장길 90, 055)532-7093 - 대중분식당 : 막국수, 창녕읍 창녕대로 27, 055)532-8033 - 김숙녀시래기밥상 : 시래기된장정식, 영산면 온천로 63, 055)536-4555
○ 주변 볼거리
- 화왕산군립공원
- 송현동고분군
- 창녕박물관
- 박진전쟁기념관
- 관룡사
![](https://blog.kakaocdn.net/dn/bSYSmm/btqJ6b3ZBcK/MlKV5B6khvYSkYzyaIWb20/img.gif)
★오늘의 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