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곰팡이 핀 깐마늘을 그냥 먹으면 독소 때문에 복통과 알레르기 반응을 겪을 수 있다.
마늘은 향신료지만, 잘못 보관하면 희거나 푸른 곰팡이가 핀다. 그러나 색이 밝아 곰팡이가 생긴지 모르고 먹기 쉽다. 곰팡이 핀 마늘은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마늘은 껍질을 벗기는 순간부터 곰팡이에 취약해진다. 마늘 껍질엔 페놀성 화합물이 있다. 이 물질은 살균 효과가 있어 곰팡이 포자 증식을 막아준다. 깐마늘은 곰팡이 보호막을 잃은 셈이다. 게다가 껍질을 까는 과정에서 마늘 조직 자체도 일부 손상되므로 곰팡이가 피기 더 쉬워진다.
마늘에 곰팡이가 생겼다면 그 부분만 도려내고 먹어선 안 된다. 통째로 버려야 한다. 곰팡이가 생겼다는 것은 마늘이 이미 부패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그냥 먹으면 곰팡이 때문에 체내에서 미코톡신이라는 독성 화합물이 생길 수 있다. 위장질환, 메스꺼움, 복통, 기타 알레르기 반응 등 부작용을 겪을 위험이 있다.
곰팡이가 핀 마늘과 함께 보관하던 다른 마늘도 버리는 게 좋다. 겉보기엔 멀쩡하다고 먹어선 안 된다. 곰팡이 포자가 근처 마늘까지 이미 퍼졌을 가능성이 있다. 건강한 사람은 실수로 곰팡이를 소량 먹어도 건강에 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이나 항암치료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에겐 소량도 위험하다.
마늘은 서늘하고, 건조하고, 어두운 상온에 보관해야 한다. 통마늘은 메시 백(구멍이 뚫린 망사형 가방)에 담아 보관하는 것도 방법이다. 깐마늘은 통마늘과 달리 밀폐용기에 키친타월을 깔고, 뚜껑을 닫아 습기를 차단한 채 0~4도씨 사이에서 냉장 보관하는 게 좋다.

★오늘의 날씨★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먹는데 몰랐다… '이 음식' 섭취하고, 혈액 맑아지는 중 (1) | 2024.10.01 |
---|---|
고등어·가자미 번갈아 먹었더니... 단백질·혈관에 변화가? (1) | 2024.10.01 |
[오늘의 운세] 9월 30일 월요일 (음력 8월 28일 丁酉) (3) | 2024.09.30 |
떡볶이보다 훨씬 맛있다! 영양가도 높은 ‘계란볶이’ (2) | 2024.09.30 |
물, 무조건 많이 마시라고?... ‘수분 보충’ 제대로 하는 방법은? (5) | 202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