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왔다. 어깨에 닿는 햇살이 한결 부드럽고 따스하다. 코끝으로 스미는 바람도 달짝지근하다. 겨우내 집 안에서 웅크리고 있던 이들도 이제 슬슬 바깥공기 좀 쐐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여기저기에서 꽃소식이 날아들어 괜히 마음을 들뜨게 한다. 봄은 꽃의 계절이기도 하지만 식도락의 계절이기도 하다.
이 땅 곳곳에서 나는 다양한 봄날의 별미들이 미식가를 유혹한다. 산과 들은 갖가지 나물과 채소를 선보이고, 강과 바다는 주꾸미며 벚굴이며 실치며 도다리며 대게 등등 온갖 먹을거리를 쏟아낸다. 이 땅은 작지만 깊고 풍요로워서 계절마다 다양한 진미를 맛볼 수 있게 해준다. 혹시 웅어라는 생선을 아는지. 조선시대에는 왕에게 진상할 정도로 귀한 신분이었지만 지금은 그 이름을 아는 이조차 드물다.
기름지고 고소한 웅어회
왕이 먹었던 진귀한 음식
웅어는 청어목 멸치과에 속하는 회유성 물고기다. 성질이 워낙 급해 멸치나 갈치처럼 그물에 잡혀 육지에 올라오는 즉시 죽는다. 그래서 수입산은 엄두조차 낼 수 없다. 양식도 불가능하다.
웅어는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기수역(汽水域)에서 많이 잡힌다. 어린 웅어는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바다로 내려가서 성장하다가 음력 4월쯤 바다와 맞닿은 하구로 올라와 갈대밭에 산란하고 그곳에 한동안 머무른다. 한자로는 갈대 위(葦) 자를 써서 위어라고도 한다. 김포와 고양, 파주의 한강 자락에서 많이 잡혔고, 멀리 올라오는 놈들은 행주나루나 개화산 앞강까지 왔다고 한다. 금강과 영산강에서도 잡혀 논산, 강경, 군산, 부여, 익산, 나주 등지에서도 웅어회가 유명했다. 지방에 따라 우어, 우여, 위어, 의어, 도어, 제어, 열어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임진강의 일몰. 강 너머로 김포시가 보인다
옛 기록에도 웅어가 자주 보인다. 《자산어보》는 웅어를 드문 글자인 ‘웅어 도’ 자를 써서 ‘도어’라고도 부르고 있는데, 웅어의 실제 모습을 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몸길이 20~30cm로 가늘게 생긴 데다 빛깔까지 은백색이어서 칼과 비슷한 모양이다. 《본초강목》에는 웅어가 제어, 열어, 멸도 등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한국수산지》, 《신증동국여지승람》, 《고양군지》 등에도 조선시대 임금이 먹던 귀한 영양식으로 등장한다. 《경도잡지》에도 사옹원이 나서서 늦은 봄이나 초여름에 웅어를 잡아 임금에게 진상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사옹원은 조선시대 궁중의 음식 관련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인데, 위어소(葦漁所)를 고양에 설치해 임금에게 진상할 웅어를 전담해서 잡을 정도였다고 한다.
백제의 의자왕도 보양식으로 웅어를 즐겨 먹었다고 한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의 소정방이 웅어를 맛보려고 부하들에게 잡아오라고 시켰으나 한 마리도 잡아오지 못하자 ‘고기마저 의리를 지키려고 모두 사라졌구나’라고 말한 데서 충어라는 말이 나왔다고도 한다.
임진강을 운행하는 황포돛배
그러나 안타깝게도 지금은 한강과 임진강 일대에서 웅어가 잡히지 않는다. 한강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웅어철이 되면 그야말로 물 반 웅어 반일 정도로 웅어가 많이 올라왔다고 한다. 당시 행주나루 사람들은 웅어를 잡아 자식들의 등록금을 마련했을 정도였다고. 하지만 1980년대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물길이 막히고 갈대숲이 사라지면서 한강, 고양, 파주를 비롯해 금강 하구의 강경포구나 영산강 구진포에서도 웅어가 자취를 감췄다.
생김새가 칼을 닮아 도어로도 불렸던 웅어
생김새가 칼을 닮아 도어로도 불렸던 웅어
웅어는 보리가 익어가는 늦봄에 먹어야 제맛을 느낄 수 있다. 주로 회로 먹는데 머리와 내장만 빼고 뼈째 모두 먹을 수 있다. 4월에서 5월 초까지가 제철. 이때의 웅어는 살이 연하고 부드러워 회를 치면 입 안에서 살살 녹는다. 지방질이 많아 구수한 맛이 나며, 씹을수록 그 맛이 더 진하게 느껴진다. 씹히는 질감은 가볍고 부드러운데, 삼키고 나면 뒷맛이 투명하다. 미나리 같은 향기 나는 채소에 갖은 양념을 넣어 버무려 먹어도 좋다. 새콤달콤한 봄 냄새가 입 안 가득 전해온다. 5월 중순이 지나면 뼈가 단단해지고 가시가 뻣뻣해져 맛이 떨어진다.
웅어는 뼈째 썰어 먹는다
일찍이 정약전도 《자산어보》에서 웅어의 맛을 "극히 감미로워서 횟감으로는 상등품"이라고 치켜세운 바 있다. 월탄 박종화도 "5월 단오 때, 행주강으로 나가 행주산성을 바라보며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의 이야기를 주고받으면서, 선유를 하면서 웅어회를 먹는 맛은 기막히게 좋다. 웅어는 회로만 먹을 것이 아니라 칼날같이 푸르고 흰 웅어를 두름으로 낚아서 집으로 가지고 돌아온 후에 주부한테 주어 난도질을 쳐서 동글동글 단자를 만든 후에 고추장을 물에 타서 끓여놓고 상추쌈을 해서 먹으면 천하일품의 진미"라고 극찬했다.
새콤달콤한 웅어회무침
웅어는 꼭 회로 먹지 않아도 된다. 구이나 매운탕, 회덮밥을 해먹어도 맛이 뛰어나다. 웅어젓갈은 옛날 궁궐에서 필히 담가 먹었을 정도로 맛이 좋다고 한다.
웅어는 《본초강목》에 맛이 달고 기운이 따뜻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약으로도 쓰였다고 나오는데, 남성의 스태미너는 물론 여성의 피부미용, 다이어트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한다. 민물고기가 아닌 바닷고기여서 디스토마 걱정이 없는 점도 웅어를 즐길 수밖에 없는 이유다.
봄철 웅어는 살이 연하고 부드럽다
봄 풍경 속을 거닐다
웅어를 맛보았다면 본격적인 파주 여행에 나서보자. 가장 먼저 만나는 곳은 자유로 끝에서 만나는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이스터 섬의 거대한 석상을 연상시키는 작품과 수천 개의 바람개비가 디카족의 촬영 명소로 인기를 끌고 있는 곳이다. 화창한 봄날을 느끼기에 좋다.
보광사 대웅전
봄날의 고요를 느껴보고 싶다면 보광사를 추천한다. 우리나라에는 보광사라는 이름의 사찰이 많다. 창건 연대가 밝혀진 보광사 가운데 가장 오래된 사찰이 파주 고령산 기슭에 안겨 있는 보광사다. 신라 진성여왕 8년(894) 왕명에 따라 도선국사가 비보사찰로 창건했다. 보광사 대웅전은 전통 목조 건축 양식을 따르고 있다. 정교하고 화려하게 조각된 공포와 퇴색한 단청이 고풍스러운 멋을 풍긴다. 외벽도 흥미롭다. 다른 사찰과 달리 외벽을 흙벽이 아니라 목판으로 처리했는데, 여기에 아름다운 민화풍의 벽화를 그려놓았다. 대웅보전 편액은 영조의 친필로 알려져 있다.
용미리 석불
보광사 근처에 용미리 석불이 있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보물 제93호)로 천연 암벽 위에 목, 얼굴, 갓을 조각해 얹어놓았다. 2구의 석불 중 왼쪽은 미륵불이고 오른쪽은 미륵보살이란다. 미륵불은 석가모니불의 뒤를 이어 56억 7000만 년 후에 도솔천으로부터 인간세계로 내려와 석가모니불이 미처 구제하지 못한 중생들을 구제할 미래의 부처다.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여행정보
1.주변 음식점
자유로 웅어횟집 :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 / 웅어회 / 031-971-0418
심학골옻닭 : 파주시 동패동 / 토종닭백숙 / 031-943-2011
DMZ장단콩두부마을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두부전골 / 031-945-3370
오두산막국수 통일동산점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막국수 / 031-941-5237
2.숙소
힐즈호텔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031-945-9800
칼튼호텔 :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031-944-9010
★오늘의 날씨★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스 타고 구불구불 산복도로 달리고, 피란수도 흔적 따라 뚜벅뚜벅 걸었다 (0) | 2023.04.05 |
---|---|
서울 여행, 봄기운 느끼며 아이와 가볼 만한 곳 (0) | 2023.04.04 |
부산 여행, 안 가면 후회할 숨은 벚꽃 명소 4 (0) | 2023.04.01 |
봄바람 타고, 아이와 함께 블링블링 울산 여행 (0) | 2023.03.31 |
고흐의 그림을 빼닮은 수선화와 청보리밭, 그리고 바다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