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6개 치킨 프랜차이즈 4개 품목 3년 전 식약처 조사 결과와 비교
양념치킨 3년 전보다 당류 39%·나트륨 28% 증가··· 나트륨은 치즈치킨이 가장 많아
양념치킨 3년 전보다 당류 39%·나트륨 28% 증가··· 나트륨은 치즈치킨이 가장 많아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3/08/2019030801418_0.jpg)
‘국민 야식’ 양념치킨이 더 달고 짜졌다. 양념치킨 반 마리만 먹어도 당류는 하루 기준치의 약 4분의 1, 나트륨은 하루 기준치의 절반 넘게 섭취하게 돼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서울시가 소비자시민모임과 함께 지난해 8~9월 가맹점 수가 많은 상위 6개 프랜차이즈 브랜드 배달 치킨 4종을 조사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BBQ· BHC·네네치킨·페리카나치킨·교촌치킨·굽네치킨 총 30개 매장의 인기 품목 4종(프라이드·양념·간장·치즈치킨)을 수거해 당과 나트륨 함량을 조사했다.
105건을 조사해 3년 전인 2015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니, 양념치킨의 당과 나트륨 함량 모두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100g당 당류 함량은 38.7%(6.2g►8.6g), 나트륨 함량은 28.1%(402.74mg►516.0mg) 증가했다.
양념치킨은 당류 함량이 조사 품목 4종 가운데 가장 높았다. 100g당 함량이 8.6g으로 프라이드(0.5g)의 17.2배였다. 반 마리(가식부 300g 기준)만 먹어도 하루 당류 기준치(100g)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양을 섭취하게 된다.
100g당 나트륨 함량은 치즈치킨(627.1mg)이 가장 높았다. 이어 간장치킨(536.4mg), 양념치킨(516.0mg), 프라이드 치킨(441.4mg) 순이었다. 치킨 반 마리의 나트륨 평균 함량은 1590.7mg으로 하루 기준치(2000mg)의 79.5%나 됐다.
동일 브랜드, 메뉴라도 매장별로 당류 함량은 최대 4배, 나트륨 함량은 최대 1.6배까지 차이가 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프랜차이즈 업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네네치킨과 페리카나치킨, 교촌치킨, 굽네치킨은 서울시에 자체 개선 계획을 제출하고 당·나트륨 절감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오늘의 날씨★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밀국수에 '간 무' 넣는 까닭 (0) | 2019.03.12 |
---|---|
[오늘의 운세] 3월 11일 월요일 (음력 2월 5일 丁未) (0) | 2019.03.11 |
살 찌는 코코아? 마시면 좋은 사람도 있어 (0) | 2019.03.11 |
아침 활력 북돋는 식품 다섯 가지 (0) | 2019.03.11 |
[오늘의 운세] 3월 9일 토요일 (음력 2월 3일 乙巳) (0) | 2019.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