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관절·연골' 손상 주의… '콜라겐'으로 지키세요
관절·연골을 구성하는 콜라겐 영양제

봄에는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무릎 통증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 활동량이 없었던 겨울 동안 근력과 유연성이 떨어져 무릎 관절 손상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5월 무릎관절증 환자는 229만여 명으로, 2022년 12∼2월 198만여 명보다 약 31만 명 정도 증가했다. 특히 60대 이상 노년층이 환자의 70% 이상을 차지했으며, 남성보다 여성 환자들이 훨씬 더 많았다. 따라서 봄철에는 외출 시 무리한 활동을 피하는 등 무릎관절증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관절·연골의 75%, 콜라겐으로 구성돼
관절 건강을 유지하는 데는 몸속 콜라겐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콜라겐은 피부, 혈관, 뼈, 힘줄, 인대 등 모든 결합 조직의 주된 단백질이며,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어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수분을 제외한 관절·연골의 75%는 콜라겐으로 구성돼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관절을 지지하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인대와 힘줄의 80%도 콜라겐 섬유의 형태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몸속 콜라겐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전체적인 관절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콜라겐 섭취와 함께 균형 잡힌 식습관, 걷기나 수영 등 적절한 운동도 필수적이다.
◇콜라겐 매년 감소해… 추가 섭취해야
문제는 체내 콜라겐은 노화와 함께 매년 줄어든다는 사실이다. 콜라겐은 20대부터 매년 1%씩 줄어 40대에는 20대의 절반, 70대에는 1/10까지 감소한다. 또한, 3∼5mm의 얇은 연골도 나이가 들수록 짧아지고 끊어져 그 크기가 감소한다. 연골은 그 특성상 신경이 없어 통증을 느끼지 못하며 한 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추가적인 콜라겐 섭취를 통해 연골의 감소 속도를 늦춰주는 게 중요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초로 관절 연골 건강 기능성을 인정한 콜라겐 원료는 '저분자콜라겐펩타이드'다. 하루 3000㎎을 섭취할 경우 피부 관절 연골 건강이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실제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6개월 동안 저분자콜라겐펩타이드를 복용한 결과 무릎 관절 통증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시중에 콜라겐 제품을 고를 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기능성을 인정받았는지 ▲인체적용시험 결과가 있는지 ▲관절·연골을 구성하는 콜라겐과 동일한 구조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오늘의 날씨★